
#include main() { int i = 0; int j = 1; printf("값 = %d, 메모리주소 = %p\n",i,&i); printf("값 = %d, 메모리주소 = %p\n",j,&j); } 메모리 번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'%p'를 이용한다. 번지 지정 연산자(&)를 사용한다. &i라는 것은 i의 값이 아닌 i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번지를 printf()함수에 넘겨주기 위한 것이다. int형 변수이기 때문에 각 변수당 메모리를 4byte씩 차지한다.

미개통된 유심과 모뎀이 있을 때, M2Mnet에 개통 진행과 함께 AT Command를 진행하는 방법 기술. 작업 환경 : M2Mnet의 WM-215 모뎀, 터미널 (Tera Term) 1. AT+CNUM을 입력하면 모뎀의 전화번호, AT_ZCDS를 입력하면 개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 AT+ZCDS를 입력했을 때 개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 45005 부분을 PLMN이라고 한다. PLMN(MCC, MNC)의 value를 모두 0으로 표현하면 개통이력이 없는 공 USIM으로 판단한다. AT+CNUM을 입력했을 때 OK가 뜨고, AT+ZCDS를 입력했을 때 PLMN이 00000으로 뜨면 개통이력이 없는 미 개통 USIM이다. AT+CNUM을 입력했을 때 번호가 뜨고, AT+ZCDS를 입력했을 때 PLMN이..
Time.h아두이노 playground에 Time.h 헤더파일이 있다.날짜 및 시간 기능, GPS 및 NTP(인터넷)과 같은 외부 시간 소스와 동기화 하는 기능.이 라이브러리는 종종 TimeAlarms 및 DS1307RTC와 함께 사용된다.(https://www.arduinolibraries.info/libraries/time) Time-1.5.0.zip 파일을 다운받으면 Time.h와 TimeLib.h 두개의 헤더파일이 있다.Time.h 헤더파일에서 TimeLib.h 헤더파일을 include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Tim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날짜와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.많은 아두이노 보드에서는 시간 측정을 위해 수정 결정판을 사용하고 있으며. 이 경우 오차는 하루에 2초 정도..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msyang59&logNo=220044343146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csibruce&logNo=130180594370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 https://www.arduino.cc/reference/ko/language/variables/utilities/progmem/ http://www.hardcopyworld.com/ngine/aduino/index.php/archives/1189 https://kocoafab.cc/tu..